사업 이야기/취준생 컨설팅

PO? PM? 신사업 기획? BD는 무슨 일을 할까?

비스포크리에이터 2023. 4. 6. 00:14

신사업 기획자, PO, PM, BD(Business Developer)취업을 꿈꾸고 계신가요?

 

최근 들어 PO와 PM, 혹은 신규 사업을 만드는 신사업 기획자나 BD로

 

취업하고 싶어 하는 취업준비생들이 부쩍 많아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모 교육 플랫폼에서 광고하는 '연봉 1억'이라는 타이틀 때문인 것 같기도 하네요.)

 

하지만 현업에서 BD로 일을 하고 있는 제가 느끼기에는 실제 '연봉 1억'이라는 수치를 달성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취준생들에게 근거 없이 꿈과 희망만 좇게 하고 싶진 않은 마음이 요즘따라 많이 드네요.

 

저는 컴퓨터공학과 전공자이지만 현재는 BD (Business Developer)라는 직무로 종사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많은 취준생분들이 궁금해하시는 BD와 PO, PM은 무슨 일을 하고, 어떻게 다른 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BD (Business Developer)

BD-PO-PM-business developer
BD (Business Developer)

BD는 말 그대로 사업을 개발하는 사업개발자입니다.

 

국내에서는 사업 개발 담당이나 사업 담당자라고 많이들 부르는 것 같습니다.

 

  • Job Description
    사업개발자 (BD)는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를 식별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영업, 마케팅 부서와 긴밀히 협업하여 사업 전략을 구상하기도 하고,
    때로는 직접 영업 및 세일즈나 마케팅을 수행하기도 하는 아주 제너럴한 영역을 담당하는 업무입니다.
    주로 잠재 고객이나 파트너와 협업하여 계약을 협상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BM)을 만드는 일을 합니다.
  • R&R (역할)
    사업개발자는 일반적으로 시장 조사부터 잠재 고객 및 파트너 식별, 협업 모델 제안 및 계약 협상 등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나가기 위한 모든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담당합니다.
  • 업무 상 특징
    사업 개발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협상 능력과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전략적 사고 기술이 필요합니다.
    특히, 급변하는 시장의 트렌드를 읽어내어 사업 기회를 포착할 수 있어야하며,
    항상 새로운 영역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을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각 도메인에 대한 이해와 기술에 대한 이해는 기본이겠죠.
  • 취업을 위한 꿀팁
    사업개발자에게는 특별한 자격증이나 수상 경력보다는 실제로 사업이나 서비스를 론칭하고 운영해 본 경험이 가장 중요합니다.
    따라서 사이드 프로젝트와 같은 실제 경험을 중심으로 어떤 과정과 논리적 가설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개발하려고 했는 지를
    자기소개서에 녹여낸다면 훌륭한 지원자로 어필할 수 있겠습니다.
PO (Product Owner)

최근 가장 떠오르고 있는 직군 중 하나죠. '연봉 1억'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홍보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수혜자입니다.

 

PO를 간단히 말하자면 미니 CEO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BD-PO-PM-product owner
PO (Product Owner)

  • Job Description
    PO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기능을 정의학고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일을 담당하는 핵심 구성원입니다.
    이들은 개발팀이나 디자인팀과 긴밀히 협력해서 상품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비즈니스의 목표치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마케팅이나 Sales 팀과 함께 협력하여 상품의 확장 전략도 함께 담당하기도 합니다.
  • R&R
    PO는 일반적으로 상품에 대한 기능 정의 및 우선 순위 선정, KPI 및 퍼포먼스를 관리합니다.
    상품을 시장에 적절히 포지셔닝하고 실제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이끌어 가는 포지션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 업무 상 특징
    일을 잘하는 PO는 보통 고객과 시장에 대한 분석 뿐만 아니라 상품이나 도메인에 대한 이해도가 깊습니다.
    데이터 리터러시가 뛰어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 결정을 내리고, 비즈니스 목표에 따라 우선순위를 적절히 조정합니다.
    가장 중요한 유관 부서 및 팀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특징입니다.
  • 취업을 위한 꿀팁
    PO가 되려면 우선 개발이나 서비스 기획에 대한 배경 지식이 있어야합니다.
    팀을 관리하는 Management 능력이나 UI/UX에 대한 서비스 기획적인 지식,
    그리고 Infra나 프런트엔드, 백엔드에 대한 개발적 지식도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PO로 취업을 하려면 서비스 하나를 완결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해 본 경험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M (Project Manger)

PM에 대해서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보통 PM은 Product보다는 Project를 총괄하는 Project Management의 역할로 많이 부르곤 하는데

 

Product Manager와 Project Manager는 뭐가 다른지 아래 문장으로 이해해 봅시다!

 

Product Manager는 '무엇을', '왜' 해야 하는 지를 고민하는 것이 주 역할이고,

Project Manager는 '누가', '언제까지' 만들지를 고민하는 것이 주요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BD-PO-PM-project manager
PM (Project Manager)

여기서 Product Manager는 국내에서 구별하는 PO와 큰 차이점은 없기에 Project Manager에 초점을 맞춰 말씀드리겠습니다.

 

  • Job Description
    PM은 산정된 범위와 예산, 그리고 일정 내에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관리하는 총괄 역할을 담당합니다.
    팀원들과 협력해서 해당 프로젝트가 정해진 시간과 예산 범위 내에서 완료되도록 하고,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이해관계자 (고객 및 상사)에게 보고합니다.,
  • R&R
    PM은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의 목표를 정의하고, 업무 범위와 예상 일정을 산정합니다.
    그리고 이에 다른 리스크 관리와 프로젝트에 대한 리소스를 관리하는 것이 주 역할입니다.
  • 업무 상 특징
    잘하는 PM은 PO와 마찬가지로 업무 상 지시를 내리는 일이 많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복잡하고 어려운 프로젝트더라도 인력 관리 및 일정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합니다.
    특히, Agile 방식이나 Waterfall 업무 방식에 상관없이 방법론에도 통달한 PM이 잘하는 PM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 취업을 위한 꿀팁
    PM이 되려면 우선 소프트웨어 공학이나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배경 지식을 갖춰야 합니다.
    또한 Slack이나 Figma 같은 협업 툴이나 업무 관리 툴인 Asana, Trello 혹은 Jira/Confluence에 대한 경험도 있으면
    대부분의 취업 시장에서 요구되는 PM의 조건을 갖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 말씀드린 BD, PO, PM 시장은 사실 신입이 들어가기에는 진입장벽이 높을뿐더러 애초에 채용 공고도 잘 올라오지 않는 직군입니다.

 

진입장벽에 대한 부분은 여러 경험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쳐도,

 

채용 자체가 별로 없으니, 대기업에 해당 직군으로 취업을 하고 싶으신 분들께서는

 

컨설팅 펌이나 스타트업, 중소기업에서 실무 경험을 먼저 쌓고 이직을 꿈꾸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오늘도 긴 글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